본문 바로가기
Finance

ETF 투자 입문 가이드 - 6. ETF도 상장폐지?

by InfosGalaxy 2025. 4. 14.
반응형
6장.

ETF도 상장폐지 될 수 있다고요?

ETF는 주식처럼 상장되어 거래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기업처럼 망해서 사라지는 개념이 아니라, 펀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 정리되는 형태인데요. 미리 알고 준비하면 손해 없이 대처할 수 있습니다.

왜 ETF도 상장폐지되나요?

ETF는 상장된 펀드이기 때문에 주식처럼 상장폐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업 파산처럼 ‘망해서 사라지는 것’과는 개념이 다릅니다.

ETF는 펀드로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 상장폐지되며, 그 안의 자산 가치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1. ETF 상장폐지 사유

다음과 같은 이유로 ETF가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상장폐지 사유 설명
🔻 순자산총액 50억 원 미만 ETF의 자산 규모가 너무 작아진 경우
🔄 유동성공급자(LP) 미이행 ETF 가격 형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 추적오차 과도 지수와 수익률이 너무 다르게 움직이는 경우
💱 괴리율 과도 시장가격과 NAV의 차이가 지나치게 클 경우

대부분 거래량 부족, 시장과 동떨어진 가격 형성이 원인입니다.

2. 상장폐지가 되면 어떻게 되나요?

  • 📢 공시 발표: 상장폐지 예정일과 사유가 공식 발표됨
  • ⏳ 거래 마감 전까지 매도 가능: 상장폐지 전일까지 자유 매도 가능
  • 💵 자동 청산: 미처 매도하지 못한 경우, 상장폐지일 기준 NAV에서 보수 차감 후 정산

ETF가 사라져도 투자금은 정산되어 계좌로 입금됩니다.
하지만 원치 않는 타이밍에 강제 정리될 수 있어 미리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상장폐지 ETF에 대처하는 법

 

① 빠르게 매도 여부 결정: 수익 중이면 매도, 손실 중이면 대체 ETF와 비교 후 결정

 

② 비슷한 ETF로 갈아타기: 동일 지수 추종 ETF가 있는지 확인
     [예]

     KODEX 반도체 → TIGER 반도체TOP10

 

③ 장기보유 중이라면 NAV 기준 자동 정산도 OK: 단, 세금과 수익률을 고려할 것

요약 정리

항목 내용
📌 상장폐지 사유 자산 축소, 유동성 부족, 추적오차/괴리율 과도
🧾 진행 절차 공시 → 거래 마감 → 자동 정산
💡 대처법 빠른 매도 or 유사 ETF로 갈아타기

💡 ETF 상장폐지는 ‘망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거래 효율성이 떨어져 정리되는 것임을 기억해야 해요.

ETF 상장폐지

ETF 입문 로드맵

📌 ETF 이해하기

📈 ETF 투자 시작

🧾 리스크와 제도 이해

🚧 투자자 주의사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