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ETF 투자 입문 가이드 - 7. 환헤지 ETF란?

by InfosGalaxy 2025. 4. 14.
반응형
7장.

(H)와 (UH), 환헤지 ETF가 뭐예요?

해외 ETF에 투자할 때, 상품명에 붙은 (H)와 (UH)는 중요한 차이를 나타냅니다. 환율에 영향을 받느냐, 받지 않느냐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고 나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ETF 상품명에 있는 (H)는 무슨 뜻일까?

해외 ETF를 검색하다 보면 (H)(UH)가 붙은 상품을 자주 보게 됩니다.

[예]

  • KODEX 미국S&P500(H)
  • KODEX 미국S&P500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데, 무엇이 다를까요?

1. H는 ‘환헤지(Hedge)’를 의미해요

H = Hedge = 환율 변동을 막는 방식
환율이 오르거나 내려도 ETF 수익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지수 자체에만 투자하고 싶다면 H형 ETF가 유리

  • 환율과 무관하게 수익이 결정됨
  • 환율 급등락 리스크 제거
  • 헤지를 위한 운용보수가 다소 높음

[예]

KODEX 미국S&P500(H) → 환율과 상관없이 S&P500 지수만 따라감.

2. UH는 ‘환 노출(UnHedged)’ 상태예요

UH = Unhedged = 환율에 노출
환율도 수익 요소 중 하나로 활용하려는 전략입니다.

  • 환율 상승 시 수익이 커짐
  • 환율 하락 시 손실도 커질 수 있음
  • 헤지 비용이 없어 운용보수는 더 저렴

[예]

KODEX 미국S&P500 → 지수 + 환율 효과까지 함께 받음.

3. 그럼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구분 H (환헤지형) UH (비헤지형)
환율 영향 ❌ 없음 ✅ 있음
운용보수 다소 높음 저렴함
환율 상승 시 변동 없음 수익 ↑
환율 하락 시 변동 없음 수익 ↓
추천 상황 환율 예측 어려울 때, 안정 추구 환율 상승 기대할 때, 공격적 투자

💡 환율이 불안정하면 H형, 상승을 기대하면 UH형
초보자라면 H형부터 소액으로 시작하는 것도 전략입니다.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H/UH 상품을 소액 분산 투자해보는 것도 좋은 접근!

정리 요약

항목 H (헤지형) UH (비헤지형)
환율 영향 없음 있음
비용 약간 높음 낮음
안정성 높음 낮음
전략 수익 안정 환율도 수익화
환헤지 ETF

 

ETF 입문 로드맵

📌 ETF 이해하기

📈 ETF 투자 시작

🧾 리스크와 제도 이해

🚧 투자자 주의사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