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ETF 투자 입문 가이드 - 8. 현물, 선물, 합성 ETF 차이

by InfosGalaxy 2025. 4. 14.
반응형
8장.

현물, 선물, 합성 ETF의 차이점은 뭘까?

ETF는 모두 똑같아 보이지만, 실제로 무엇을 보유하느냐에 따라 구조가 크게 달라집니다. 현물, 선물, 합성 ETF는 자산 구성 방식이 다르고,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는데요. 어떤 ETF에 투자할지는 이 차이를 이해한 뒤 결정해보죠.

1. 현물 ETF란?

현물(Spot)은 우리가 실제로 사고파는 실물 자산을 의미합니다. 주식, 채권, 금, 부동산 등 실제로 보유 가능한 자산입니다.

 

현물 ETF는?
실제 자산을 직접 보유하는 ETF로, 투명하고 가장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예]

KODEX 200 ETF는 코스피200 구성 종목(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실제 보유합니다.

내가 투자한 ETF가 어떤 자산을 들고 있는지 명확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2. 선물 ETF란?

선물(Futures)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산을 정해진 가격으로 거래하기로 한 계약입니다.

 

선물 ETF는?
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선물 계약을 통해 가격 변동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예: KODEX 원유선물 ETF는 실제 원유를 보유하지 않고, 원유 선물 계약을 통해 운용됩니다.

장점 단점
보관 비용 없음 장기 투자 시 복잡한 구조
원자재 직접투자보다 간편 선물 가격 왜곡 가능성

📘 선물 ETF는 원자재, 지수, 변동성 등에 많이 활용됩니다.

 

3. 합성 ETF란?

합성 ETF(Synthetic ETF)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수익을 증권사와의 계약(스왑)을 통해 보장받는 ETF입니다.

합성 ETF는?
ETF 운용사가 증권사와 스왑 계약을 맺어 지수 수익률을 간접적으로 제공받습니다.

 

[예]

KODEX WTI원유선물(H) → 실제 원유를 보유하지 않고, 스왑 계약으로 수익을 추종.

  • ⚠️ 거래상대방(증권사)의 신용 리스크 존재
  • 국내에서는 손실 최대 5%로 제한, 위험관리 체계 존재

직접 보유가 어려운 자산 (해외 부동산, 특수 지수 등)에 적합한 구조입니다.

요약 정리

유형 구성 방식 대표 예시 특징
현물 ETF 실제 자산 보유 KODEX 200 안정적, 투명
선물 ETF 선물 계약 기반 KODEX 원유선물 원자재, 변동성 대응
합성 ETF 스왑 계약 기반 KODEX WTI원유(H) 해외 자산 간접 접근

 

🙋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할까요?

당신이 이런 투자자라면… 추천 ETF 유형
투명한 구조, 장기 투자 선호 현물 ETF
금, 원유 등 원자재에 투자하고 싶음 선물 ETF
해외 자산에 저비용으로 투자하고 싶음 합성 ETF

ETF 입문자라면 현물 ETF부터 시작해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현물, 선물, 합성 ETF 차이

ETF 입문 로드맵

📌 ETF 이해하기

📈 ETF 투자 시작

🧾 리스크와 제도 이해

🚧 투자자 주의사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