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2

Data literacy - 나만의 데이터 리포트 5장 4절.나만의 데이터 리포트, 어떻게 시작할까?“나도 데이터 기반 리포트 한 번 써보고 싶어요.”“그런데 뭘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엑셀도 자신 없고, 그래프도 어렵고…”이런 말을 정말 많이 듣는다. 하지만 사실 데이터 리포트는 전문가만의 영역이 아니다.중요한 건 복잡한 기술이 아니라, '무엇을 보여줄지'에 대한 명확한 질문이다. 데이터 리포트는, 숫자를 나열하는 게 아니라 메시지를 설계하는 것이다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 게 있다. 바로 ‘데이터부터 모으기’다.“매출 데이터 다 긁어와야지”“설문 응답 전부 보기 좋게 정리해야지”“그래프 많이 넣어야 임팩트 있겠지?”하지만 정작 중요한 건 이거다.“그래서 이 리포트로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리포트는 수치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 의미를 전달하는 .. 2025. 4. 23.
Data literacy - 비정형 데이터 5장 3절.숫자보다 더 중요한 ‘비정형 데이터’ 다루기“데이터 분석하겠습니다!”그리고 숫자만 꺼낸다. 매출, 전환율, 이탈률, 클릭 수, 반응률, 평균 시간…그런데 뭔가 이상하다.분석은 했는데, 정작 고객이 왜 떠났는지는 모르겠다.리포트는 잘 만들었지만, “그래서 우리 팀 분위기는 요즘 어떤가요?”라는 질문엔 대답을 못 한다.왜일까? 숫자에 없는 이야기들이, 더 중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숫자는 결과를 말하고, 비정형 데이터는 이유를 말한다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어떤 앱의 하루 사용자 수가 줄었다. 숫자로는 ‘문제 상황’이다.하지만 왜 줄었는지는 숫자가 말해주지 않는다.그걸 알려주는 건,고객 문의에 남긴 불만의 문장앱 리뷰의 댓글설문 응답 중 자유서술형고객센터 통화 내용직원 간 이메일, 회의 메모, .. 2025. 4. 22.
Data literacy - 쓸모 있는 시각화 5장 2절.쓸모 있는 시각화 vs 보기 좋은 장식슬라이드를 넘긴다. 애니메이션이 멋지고, 그래프는 화려하게 움직인다. 색깔도 많고, 폰트도 크고, 마치 잘 만든 광고 영상 같다.그런데 발표가 끝나고 나면 딱 한 가지를 묻게 된다.“…근데 그래서, 뭐가 중요한 거죠?” ‘보기 좋은’ 그래프는 많다. 그런데 ‘쓸모 있는’ 그래프는 드물다.요즘은 시각화 도구도 많고, 템플릿도 많고, 심지어 AI가 자동으로 그래프도 만들어준다.원형 그래프, 막대 그래프, 누적 차트, 워드 클라우드슬라이드 디자인 플랫폼, 자동 색상 조화 추천덕분에 누구나 손쉽게 멋진 시각화를 만들 수 있다.그런데 문제는, 예쁘게 만들어진 시각화가 진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보기에 좋은 게, 꼭 이해하기 쉬운 건 아니다예를 들어보자... 2025. 4. 21.
Data literacy -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 5장 1절.정제되지 않은 데이터가 말하는 진짜 이야기“이 데이터, 좀 지저분한데요?”“빈칸도 많고, 숫자도 이상해요.”“정제 먼저 하고 분석합시다.”데이터 분석을 하자고 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말들이다. 하지만 정작 진짜 이야기는, 그런 ‘이상한 데이터’ 속에 있다. 현실 데이터는 깨끗하지 않다. 그리고 그게 정상이다. 실제 데이터를 처음 열어보면 이런 생각이 든다.“왜 이름이 두 개씩 있는 사람이 있지?”“날짜가 2021년, 2022년, 1022년? 오타인가?”“빈칸이 이렇게 많은데, 뭘 분석하라는 거지?”“이건 숫자고, 저건 문자열이고… 정리가 안 돼 있다.”그리고 곧 이런 말이 따라붙는다.“이건 못 써요.”“다시 받아오죠.”“클렌징부터 해야겠네요.”맞다. 정제는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 쉽게.. 2025. 4. 20.
Data literacy - 내가 만든 데이터가 나를 규정하는 순간 4장 4절.내가 만든 데이터가 나를 규정하는 순간나는 나를 안다고 생각했다. 나는 ‘내가 선택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어쩌면 지금의 나는 어제의 내가 남긴 데이터가 만든 결과일지도 모른다. 데이터는 과거의 나를 기억한다. 그리고 현재를 해석하고, 미래를 예측한다.내가 클릭한 상품들,내가 끝까지 본 영상들,내가 스크롤하다 멈춘 시간,내가 찜해두고 결국 사지 않은 장바구니…이 모든 데이터는 단순한 ‘흔적’이 아니라 해석의 단서가 된다.“이 사람은 이런 제품을 좋아한다”“이 사람은 늦은 밤에 혼자 영상 소비를 많이 한다”“이 사람은 이 카테고리에 관심이 많고, 구매력도 있다”그렇게 만들어진 프로파일은 나의 취향을 예측하고, 내가 어떤 소비자, 어떤 사용자, 어떤 사람인지를 정의한다.데이터는 삶의 조건을 바꾼다.. 2025. 4. 18.
ETF 투자 입문 가이드 - 13. 초보자가 하는 실수 TOP 5 13장.ETF 투자,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TOP 5ETF는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투자 수단이지만, 기본적인 구조와 특성을 모르면 예상치 못한 손해를 볼 수 있습다. 실제 투자자들이 자주 하는 실수와 그 해결 방법을 함께 살펴보자. ❗ 1. 상품명만 보고 ETF를 산다ETF 이름이 비슷하더라도 자산 구성, 환헤지 여부, 운용 방식이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예시설명KODEX 미국S&P500미국 주식 직접 보유 (현물형)KODEX 미국S&P500(H)환헤지 적용KODEX 미국S&P500선물선물 기반KODEX 인버스지수 하락에 투자✔️ 상품명만 보지 말고, 구성 종목·지수·운용 방식 확인!→ 증권사 MTS, KODEX 등 공식 사이트에서 정보 확인 가능❗ 2. 장기 투자 목적으로 레버리지 ETF에 투자한다.. 2025. 4.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