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ableau

Iron Viz "Boom of Latin Music" 대시보드 분석

by InfosGalaxy 2025. 2. 26.
반응형

Iron Viz "Boom of Latin Music" 대시보드 분석

Iron Viz "Boom of Latin Music"

1. 스토리라인 분석 및 이유

이 대시보드는 라틴 음악의 성장과 글로벌 영향력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특정한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도입: 라틴 음악의 역사적 시작

  • 1959년, La Bamba가 빌보드 차트에 오른 최초의 스페인어 곡이었음을 언급하며, 라틴 음악이 미국 및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음을 강조함.
  • 주요 지리적 요인: 푸에르토리코가 현대 레게 톤의 발상지임을 설명함.

본론: 라틴 음악의 성장과 붐

빌보드 차트 데이터 분석

  • 1959년 단 1명의 라틴 아티스트가 빌보드 핫 100 차트에 진입했지만, 2023년까지 151명의 라틴 아티스트가 차트에 올랐음을 시각적으로 표현.
  • 2017년부터 급격한 성장이 시작되었음을 강조.

YouTube 및 스트리밍 플랫폼의 기여

  • 2010년 유튜브 상위 50명의 아티스트 중 라틴 아티스트는 5명뿐이었으나, 2023년에는 절반에 육박할 정도로 증가.
  • 스포티파이에서 2016~2023년 동안 글로벌 사용자 수가 527% 증가했고, 같은 기간 라틴아메리카 사용자는 633% 증가함.

지역적 특징과 ‘Glocalization(글로컬리제이션)’

  • 지역 내에서 강한 음악적 정체성이 유지되면서, 세계 시장에서도 확장되는 흐름을 보임.
  • 예를 들어 멕시코 음악이 미국 시장에서도 큰 영향을 미치며, 미국 빌보드 차트에 멕시코 음악 장르 곡이 2023년에만 40개 등장함(2022년 대비 1900% 증가).

전망: 라틴 음악의 미래 전망

  • Shakira와 Enrique Iglesias 같은 아티스트들이 초기에 영어 음악을 발표하다가 다시 스페인어 음악으로 돌아온 사례를 보여줌.
  • 라틴 음악의 사례를 통해 K-pop, J-pop, Afrobeats, 인도 음악 등이 비슷한 경로를 밟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
  • 음악 시장에서의 다문화적 흐름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측.

2. 스토리라인의 강점

이 대시보드는 명확한 흐름과 데이터 기반의 설명을 통해 강력한 스토리텔링을 제공합니다.

시각적 데이터 활용

  •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한눈에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됨.
  • 예를 들어, 라틴 아티스트의 빌보드 차트 진입 수 변화를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왜’와 ‘어떻게’에 대한 설명

  • 단순히 ‘라틴 음악이 성장했다’는 결과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급, 유튜브의 영향, 사회적 트렌드 변화 등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함.

참여 유도형 구성

  • 사용자가 차트를 ‘호버(Hover)’하면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 요소를 배치.
  • 연도별 주요 사건을 클릭하면 특정한 시점의 변화가 강조되도록 함.

맥락적 연결을 통한 흥미 유발

  • 단순한 차트 나열이 아니라, La Bamba, Macarena, Despacito 같은 대표곡을 활용해 청중의 친숙도를 높임.
  • "Shakira가 다시 스페인어 음악을 선택한 이유" 등 유명 아티스트의 사례를 추가하여 흥미를 더함.

dashboard

3. 개인적인 생각 및 의견

이 대시보드는 단순한 데이터 시각화가 아니라, 스토리텔링과 데이터 분석의 조화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스토리텔링 기반 데이터 시각화’의 좋은 예시

  • 데이터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흐름(도입-본론-결론)에 따라 정리함으로써 독자가 자연스럽게 정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
  • 특히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데이터로 설명하는 방식이 인상적임.

라틴 음악의 성장 과정이 흥미로움

  • 개인적으로 Despacito가 유튜브에서 엄청난 조회 수를 기록했을 때부터 라틴 음악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음을 체감했는데, 이 대시보드를 통해 그 성장의 배경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음.
  • 스포티파이, 유튜브 등의 글로벌 플랫폼이 특정 지역 음악의 인기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킨다는 점이 다시 한번 확인됨.

‘Glocalization’ 개념의 확장 가능성

  • 대시보드는 라틴 음악뿐만 아니라 K-pop, Afrobeats, 인도 음악 등의 성장 가능성을 언급했는데, 이는 세계 음악 시장이 점점 더 다문화적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함.
  • 예를 들어, K-pop이 BTS 이후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인도 음악이 스포티파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점도 흥미로운 요소임.

추가되었다면 ...

  • 대시보드에서 아티스트 개별 사례를 다룰 때, 그들의 음악 스타일 변화뿐만 아니라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도 함께 보여주면 더욱 깊이 있는 분석이 될 것 같음.
  • 스트리밍 플랫폼 외에도 TikTok과 같은 짧은 영상 기반 플랫폼이 라틴 음악의 확산에 미친 영향도 분석하면 더욱 풍부한 내용이 될 수 있을 것 같음.

나의 생각…

"IronViz_BoomOfLatinMusic" 대시보드는 스토리라인을 명확하게 구성하면서도 데이터 중심의 분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뛰어난 대시보드이다.

  1. 1959년부터 현재까지 라틴 음악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2. 스트리밍, 유튜브, 소셜미디어의 성장과 연결하여 그 이유를 분석하며,
  3. Glocalization 현상을 설명하며 전망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 대시보드는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이 얼마나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며, 다른 문화적 흐름(예: K-pop, Afrobeats)에도 적용할 수 있는 분석 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025 Iron Viz Finalists

 

2025 Iron Viz Finalists

2025 Iron Viz Finalists 어제 글을 올렸는데 오늘 최종 3작품이 선정되었네요.공유해 봅니다. 작품 하나 하나를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서 다시 글을 써봅니다.(하루에 한개씩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infogalaxy.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