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on Viz 2025: "Hit Machines" 분석
1. 스토리의 핵심
대시보드는 2010년과 2022년 Pitchfork가 선정한 1990년대 최고의 곡 리스트를 비교하며, 대중의 음악 취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힙합, R&B, 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대체 록(Alternative Rock)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점을 강조한다.
이 프로젝트의 출발점은 간단하다. 2010년 Pitchfork는 Pavement의 "Gold Soundz"를 90년대 최고의 곡으로 선정했다. 하지만 2022년에는 Mariah Carey의 "Fantasy"가 1위에 올랐다. 같은 시대의 음악임에도 불구하고, 평가 기준이 크게 바뀐 것이다. 이는 단순한 리스트 변경이 아니라, 음악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재평가되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다.
대시보드는 단순한 순위 비교를 넘어, 여성 아티스트들의 부상, 장르별 인기 변화, 특정 곡의 순위 이동 등을 분석하며 90년대 음악의 지속적인 영향을 탐구한다.
2. "Hit Machines" 대시보드의 장점
이 대시보드는 다음과 같은 강점을 가지고 있다.
(1) 직관적인 데이터 스토리텔링
- 2010년과 2022년의 순위를 비교하며 시각적 요소를 활용해 변화를 강조한다.
- 순위 변화가 큰 곡들(“Movers and Shakers”)을 별도로 정리하여, 어떤 곡들이 새롭게 평가되었거나 잊혀졌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 선 그래프와 분포 차트를 활용해 트렌드 변화가 한눈에 들어오도록 구성했다.
(2) 장르별 변화 분석
- 2010년과 2022년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힙합, R&B, 팝 음악이 급부상했지만, 2010년에는 강세였던 대체 록과 인디 음악의 비중이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 이를 통해 단순히 인기곡의 변화뿐만 아니라, 음악 소비 트렌드 자체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3) 여성 아티스트의 부상
- 2010년에는 27%의 아티스트만 여성 또는 여성 멤버를 포함한 그룹이었으나, 2022년에는 47%로 증가했다.
- 특히 TOP 20순위에서 여성 아티스트의 비율이 30% → 65%로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여성 아티스트들이 재조명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4) 상호작용(Interactive) 기능
- 각 곡을 클릭하면 해당 곡의 세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 Pitchfork 랭킹을 직접 비교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요소를 추가해, 사용자가 직접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사용자가 특정 장르를 선택하면 해당 장르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주는 필터링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3. 추가되었으면 좋은 기능 제안
대시보드는 이미 뛰어난 데이터 스토리텔링과 시각화를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기능이 추가되면 더욱 풍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1) 사용자 개인화 기능
- 사용자가 자신의 Spotify 또는 Last.fm 데이터를 연동하여, 자신의 음악 취향과 Pitchfork의 변화된 랭킹을 비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나는 2010년 리스트에 더 가까운 취향을 가지고 있을까? 아니면 2022년 취향일까?" 같은 자기 발견(Self-Discovery)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2) 유사한 트렌드를 보이는 다른 시대 비교
- 90년대뿐만 아니라, 2000년대나 2010년대의 Pitchfork 랭킹도 비교할 수 있다면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 예를 들어, "2000년대 최고의 곡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재평가되었는가?" 같은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3) 대중과 비평가의 평가 차이 비교
- Pitchfork의 랭킹뿐만 아니라, Spotify 스트리밍 데이터나 Billboard 차트 데이터를 결합하여 대중이 선호하는 곡과 비평가들이 재평가한 곡 간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어떤 곡들은 당시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현재 스트리밍에서는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지 등을 보여줄 수 있다.
(4) 시대별 대표 플레이리스트 생성
- Pitchfork의 변화된 랭킹을 기반으로 2010년 vs. 2022년 플레이리스트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듣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90년대 음악을 재발견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4. 결론
Hit Machines
는 단순한 음악 순위 비교를 넘어, 시대별 음악 취향 변화와 문화적 재평가 과정을 탐구하는 흥미로운 프로젝트다. 2010년과 2022년의 Pitchfork 리스트를 비교하면서, 어떤 음악이 새롭게 평가받았고, 어떤 음악이 퇴조했는지를 데이터 기반으로 보여주는 점이 강력한 장점이다.
특히, 힙합, R&B, 팝 음악이 대체 록을 넘어 주류가 된 변화, 여성 아티스트의 부상 등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추가로 사용자의 취향과 비교할 수 있는 개인화 기능, 2000년대까지 확장한 비교 분석, 대중과 비평가의 평가 차이,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기능이 더해진다면 더욱 풍부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90년대 음악은 여전히 현재의 음악 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Hit Machines"는 그 변화를 데이터와 스토리텔링으로 생생하게 보여주는 최고의 대시보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2025 Iron Viz Finalists
2025 Iron Viz Finalists 어제 글을 올렸는데 오늘 최종 3작품이 선정되었네요.공유해 봅니다. 작품 하나 하나를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서 다시 글을 써봅니다.(하루에 한개씩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infogalaxy.co.kr
'Tableau'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o Visualize Cherry Blossom Paths in Tableau (1) | 2025.04.07 |
---|---|
🌸 서울 벚꽃길 찾아보기 (0) | 2025.03.31 |
Iron Viz 2025 - The Bears of Brooks River (2) | 2025.03.24 |
Iron Viz 2025 : Jimmy Buffett's Margaritaville 분석 (1) | 2025.03.15 |
Iron Viz "Boom of Latin Music" 대시보드 분석 (1) | 2025.02.26 |
Boston Marathon Entry 분석 및 스토리라인 해석 (0) | 2025.02.16 |
From Screen to Scene 분석 및 스토리라인 해석 (0) | 2025.02.12 |
Shark Tank Tableau Dashboard - 스토리라인 분석 (0) | 2025.02.12 |